정부과제의 모든것

부설연구소, 벤처등 경영인증 1. 개요 본문

경영인증, 제품인증

부설연구소, 벤처등 경영인증 1. 개요

아프리카기린 2020. 9. 23. 12:29

각종 인증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인증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려고 합니다.

 

 인증은 경영인증이 있고 제품인증이 있습니다.

 

경영인증은 회사가 받는 인증이고 제품은 말 그대로 제품이 받는 인증입니다.

 

경영인증으로는 벤처, 이노비즈, ISO등이 있고

 

제품인증은 NET, NEP, 우수조달 등이 있습니다

 

 

그중 회사 창립후 해야할 기업 인증을 하나씩 설명하려고 합니다.

각각의 인증에 대한 세세한 설명은 이후 연번에 의해 하나씩 설명하려고 합니다.

 

 

부설 연구소와 전담부서

 

 

중소기업은 창업후 연구소를 설립하는 걸 고민하게 됩니다.

 

연구소 설립에는 공간의 문제와 인원의 문제가 있습니다.

 

인원과 공간이 없을 때는 연구 전담 부서를 설립하면 됩니다.

 

연구 전담부서는 특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전담 부서 직원의 책상만 있으면 됩니다.

 

인원은 대표와 직원 한명을 제외하고 전담부서 직원 1인이며

 

이공계 2년제 이상 이 자격입니다.

 

전담부서를 통해 연구 인력의 연봉중 25%를 세금 공제 받습니다.

 

정부과제 지원시 전담부서가 있어야 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전담부서를 설립하는 것이 당연히 좋습니다.

 

부설 연구소는 연구인력이 2명, 즉 대표와 대표외 직원 1인을 제외하고

 

2명의 이공계 전공자와 부설연구소를 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공간은 칸막이 파티션 정도면 됩니다.

 

혜택은 세금 감면, 정부과제 지원시 가점 등입니다.

 

 

벤처, 이노비즈, 메인비즈

벤처는 중소기업 창업후 바로 만들수 있습니다.

창업 직후, 3년 이후로 구분되어지나 통상 바로 만들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세제혜택과 기타 정부과제 지원시 자격 요건에 벤처 인증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벤처인증을 원할때는 먼저 기술보증보험에 직접 문의하시고

 

가능성 여부를 판단받으신뒤 진행해야 합니다.

 

 

이노비즈와 메인비즈는 창업3년 이후에 가능합니다.

 

세제혜택, 기업 대출, 병역 특례, 홍보, 마케팅등

 

지원이 다양하고 액수가 크기때문에 가능하면 꼭 받아야 하는 인증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