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과제의 모든것

정부과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2 본문

R&D 정부과제

정부과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2

아프리카기린 2020. 9. 7. 12:24

정부과제 지원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에 대해 순차적으로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작성요령 1에서는  사전 확인 사항과 종합적인 이해를 설명했고

작성요령 2에서는  사업계획서 목차와 사업계획서를 객관적으로 쓰는 법을 다루려고 합니다.

 

 

1. 사업계획서 쓰기전 사전 확인 사항

2. 사업계획서 목차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3. 각각의 목차 설명

4. 주관적인 관점을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5. 평가위원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항은?

6. 합격 기준은 무엇인가?

 

7. 사업계획서 온라인 제출 방법은?

8. 사업계획서 합격 후 일정은?

 

 

 

3. 사업계획서 목차 설명

정부과제 지원에 있어서 사업은 전 회차에 말씀드린데로 크게 기술, 제품 개발

개발이 완료된 기술과 제품의 사업화 과제로 나눌수 있습니다.

 

 

사업계획서도 이 두가지로 나뉩니다.

 

기술개발과 사업화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서 다시 세부적인 과제명이 있고

그에 따라 조금씩 사업계획서 양식도 달라집니다.

 

그렇지만 기본 틀은  같고 중요한 요소도 같습니다.

 

초기 창업 패키지 사업계획서 순서와

창업성장 기술 혁신 사업계획서 순서

이 두가지를 예시로 설명하겠습니다.

 

초기 창업패키지는 창업 3년 안쪽의 회사만 지원할수 있다라는 자격 제한이 있습니다.

 

K-스타트업 (창업넷) 에서 신청을 받습니다.

먼저 창업넷에 회원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회원가입이 뭐 어려운가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회원가입이 안되는 개인기업이 있습니다.

정부과제는 확인 또 확인이 중요합니다.

 

 

https://www.k-startup.go.kr/main.do

 

K-Startup 창업지원포털

중소벤처기업부 운영 창업지원포털 창업지원사업 정보 통합·제공 및 온라인창업교육, 창업공간정보, 온라인법인설립 서비스 제공

www.k-startup.go.kr

 

초기 창업 패키지 사업계획서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원본 사업계획서 각각의 목차는 다 번호가 있으나

아래 번호는 제가 편의에 의해서 붙였습니다.

 

1.

제품서비스 개요 (요약)

 

2

문제인식

개발 동기, 제품 서비스의 목적(필요성)

실현 가능성 

개발 방안

 

3

사업기간내 달성 방안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 방안

성장 전략

자금 소요 및 조달 계획

시장 진입 및 성과창출 전략

내수시장 현황

해외 시장 현황

 

4

기업구성

대표자 현황

직원 현황

사회적 가치 실현 계획

 

문제인식부터 개발동기, 서비스목적, 가능성,방안등이 한 묶음이고

사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또 한 묶음입니다.

마지막으로 기업과 대표자, 직원등 팀의 역량이 한 묶음 입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1번 요약이 있습니다.

 

초기 창업 패키지는 개발에 방점이 찍혀있지 않고

사업화와 서비스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그리고 첫번째 페이지 요약본이 가장 중요합니다.

 

요약본에 얼마나 직관적으로  개발내용과 사업성을 이해할수 있게

작성할것인가가 제일 중요합니다.

 

또 마지막 팀의 역량 즉 대표자의 현황과 직원 현황이 중요합니다.

현황이라고 해서 간단 명료하게 작성하시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사업화과제는 평가위원이 기술평가위원보다 투자, 사업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위원이 더 많습니다.

 

투자를 하는 전문가들은 아이템만큼 그걸 해낼수 있는

인적 인프라에 주목합니다. 

 

중소기업은 대표가 대부분 개발, 영업, 인사, 자금까지 다 관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연히 대표의 경력이 제일 중요합니다.

 

3번 사업화 방안에는 제목이 중첩되는 것도 있다고 생각되고

또 해외시장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임의대로 제목을 지우면 안됩니다.

이는 R&D 개발 과제 사업계획서도 같습니다.

 

목차를 임의대로 지우면 바로 탈락입니다.

 

항목마다 최선을 다해서 단 몇줄이라도 

아니면 앞으로 계획이라도 만들어 내야 합니다.

 

 

4. 주관적인 관점을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다음 R&D사업계획서를 설명하면서 주관적인 관점이 아닌

평가위원의 관점에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R&D개발 사업계획서는 기술과 제품 개발입니다.

역시 원본에는 번호가 다 있지만 제가 편의대로 번호를 붙였습니다.

 

1

기술성

기술 개발 개요 및 필요성

기술 개발 독창성 및 차별성

기술개발 선행연구  결과 및 애로사항

지식재산관 확보 회피방안과 기술 유출 방지 대책

기술 개발 목표

기술 개발 내용

수행기관 업무 분장, 세부 추진 내용

 

 

2

사업성

사업화 목표

산정 근거

사업화 실적

국내외 시장 규모

사업화 계획

제품화 및 양산, 판로 개척

주요 판매처 및 후속 추자 계획

개회시장 진출 계획

고용 유지 및 창출 계획

 

 

R&D 기술, 제품 개발은 기술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중 개요를 간단 명료하게 작성하시고

개발 목표와 개발 내용을 가장 열심히 작성해야 합니다.

 

 

개요는 개발할 기술과 제품의 개요입니다.

개요라는 말에 시장 상황, 전반적인 기술 상황, 제품의 일반적인 상황을

기술하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평가위원은 과제 제목을 보면 위에 상황들을 다 알수 있습니다.

따라서 읽고 싶은 내용 즉, 알고 싶은 내용은

무엇을 개발하고 그 제품과 기술은 이렇다라는 점입니다.

 

교과서 개요를 설명하기보다

교과서를 보고 느낀점을 말해야 점수가 높겠지요.

 

직관적으로 써야합니다.

 

바로 이해할수 있게 써야합니다.

 

그리고 독창성, 차별성, 기술내용 보호등 목차가 있습니다.

중요하지만 평가위원이 차례대로 보는 항목이 아닙니다.

제목과 개요를 보면 독창성, 차별성등은 이미 파악이 다 됩니다.

 

열심히 작성하되 중복되지 않게 쓰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기술 개발 최종목표와 개발 내용

이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목표는 목표만 내용은 내용을!

 

목표는 짧게 뭘 개발하겠다 정도입니다.

내용은 아주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무엇을 개발하겠다고 목표를 제시했으면

어떻게 개발할지 하나하나 세부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개념도, 구조도, 회로도, 알고리즘등 필요한 모든 직관적 자료를 제시해야 하고

평가위원이 한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친절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캐드를 이용한 2,3차 평면도나 개발 제품도도 경우에 따라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작성되고 완성된 사업계획서를 보고

평가위원은 뒤에 사업화 내용을 볼지 결정합니다.

 

위 개발 내용이 없으면 뒤는 보지 않습니다.

 

정부지원금은 개발내용에 인건비와 재료비 테스트비용을 지원하는 겁니다.

무상지원이니 그냥 주는 것이지요!!

 

돈은 어디에 쓰겠다는 내용이 바로 개발 내용입니다.

개발 내용이 없는 사업계획서는 더 볼필요가 없다고 판단합니다.

 

평가위원들이 봐야할 사업계획서도 너무 많습니다.

 

사업화내용은 위 초기창업 사업화계획서랑 거의 동일합니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면서

내가 설명하고 싶은 내용

내가 알고 있는 내용중에서

 

평가위원이 듣고 싶고 

알고 싶어하는 내용만 

정확하게 직관적으로 제시하는 노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주식회사 소유에셋

SOYOUASSET.CO.LTD.

이사 김우성 

서울 강동구 올림픽로62길 9-15. 4층

Tel : 02.2038.3110 fax : 02-512-0912 Mobile : 010.8934.3311

E-mail : kimws12070427@gmail.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