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1예비창업패키지
- 작은집
- 21정부과제
- 2021정부과제
- 전원주택
- 철원국밥집
- 2021창업도약과제
- 정부과제
- 2021초기창업패키지
- 중기부과제
-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 21중기부과제
- 정부과제컨설팅
- 2021스마트선도과제
- 양평투썸서종리버사이드
- 2021사업계획서
- 2021정부과제사업계획서
- 21예비창업자과제
- 제주시현지식당
- 강릉현지인횟집
- 2021인력지원사업
- 농막
- 2021중기부 구매조건부 과제
- 2021소상공인 생활밀착형과제
- 목조주택
- 2021정부과제최종보고서
- 철원한식집
- 강릉사천횟집
- 사업계획서
- 2021중기부과제
- Today
- Total
정부과제의 모든것
정부과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1 본문
안녕하세요 소유 에셋 김우성입니다.
정부과제 지원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에 대해 순차적으로 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1. 사업계획서 쓰기전 사전 확인 사항
2. 사업계획서 목차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3. 각각의 목차 설명
4. 주관적인 관점을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5. 평가위원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항은?
6. 합격 기준은 무엇인가?
7. 사업계획서 온라인 제출 방법은?
8. 사업계획서 합격 후 일정은?
대략 위의 내용에 관해 작성을 하려고 합니다.
정부과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1 에서는
위 항목 중 1, 2번 항목의 내용을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1. 사업계획서 쓰기 전 확인 사항
1-1. 사업계획서를 쓰기 전에 내가 맞는 정부과제가 무엇인가를 찾는다?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린 얘기입니다.
중기부 사업계획서는 과제명에 따라 조금씩 양식이 다른 듯 보이지만
다 동일하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중기부 연구개발 R&D 과제는 기술개발, 제품 개발, 혁신 제품 지정,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
등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공고가 진행되고 사업계획서 양식이 있지만
그 하나하나를 다 분석해보면 순서가 동일합니다.
사업계획서를 쓰기 전에 내게 맞는 과제를 찾을 필요는 없습니다.
사업계획서는 먼저 시작하셔야 합니다.
중기부 과제는 보통 연간 1억 5천에서 2억 원 정도의 지원금입니다.
환급할 필요가 없는 무상 지원입니다.
인건비와 재료비 그리고 테스트 비용이 주를 이루는데
이 정도 금액은 연간 20억 매출을 하는 중소기업 순이익보다 많습니다.
다시 말해서 15페이지 정도 되는 사업 계획서 하나로 연간 2억여 원을 무상 지급하고 있고
이 평가 기준이 사업계획서입니다.
몇 주 써서 쉽게 합격될 수 있는 수준은 아닙니다.
정부 과제를 지원하겠다고 결심하는 순간
정부과제를 지원하겠다고 알아보는 순간부터
사업계획서는 작성을 시작해야 합니다.
1-2. 기본적인 사이트에 가입하셔야 합니다.
www.smtech.go.kr과 https://www.k-startup.go.kr/두 사이트에는 기본적으로 가입을 해놓으셔야 합니다.
사업계획서 양식 다운부터 과제 공고, 신청 자격 등이 상세하게 나옵니다.
1-3. 결격사유는 알아두셔야 합니다.
국세 미납 여부, 자본 잠식 여부 등 과제를 지원하지 못하는 결격사유가 있고
연구소나 벤처인증이 없어서 한정적으로 지원하는 사유가 있습니다.
2. 사업계획서 목차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2-1 사업계획서에서 중요한 두 개의 카테고리
사업계획서 순서는 크게 보면 개발 내용, 사업화 내용 두 가지입니다.
R&D 과제는 개발과제입니다.
개발 내용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유는 정부지원금 사용처가 개발하기 위한 인건비, 재료비, 성능인증 테스트 비용이기 때문에
무엇을 어떻게 개발하겠다는 내용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다음에 개발 내용을 가지고 어떻게 사업을 할 수 있는지 증명하는 일이 사업화 내용에 들어갑니다.
정부가 투자자이고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무엇을 어떻게 개발할지가 개발 내용이고 거기에 비용을 지불하면
어디에 누구한테 팔아서 투자한 비용이 나라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사업화 내용입니다
정부는 연구개발비로 지원하고 자금을 회수하지 않습니다.
실패하더라도 성실하게 연구를 수행하면 성실수행 판정으로 환수 대상이 아닙니다.
그러면 돈만 타면 땡?
이러한 눈먼 돈이 되지 않기 위해서 성공 수행하고 일정액의 기술료를 받아서
이로써 정부의 지원이 헛되지 않음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 부분이 바로 사업화 계획 내용입니다.
지금까지 이렇게 사업을 해왔고 이번 개발을 통해 이렇게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라는
명확한 비전을 제시해야 합니다.
사업계획서 목차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는 자칫 사업계획서를 쓰다가
한쪽면만 너무 치우치게 되는 경우
다시말해 연구개발만 강조하거나 사업성만 강조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서입니다.
사업계획서를 쓰시는 대표님이나 연구담당자는
자신있는 부분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채점을 하는 평가위원들은 늘 동일한 잣대로 계획서를 봅니다.
개발성과 사업성 두 카테고리가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그런데 사업성이 없는 개발성은 부족하지만 가능하더라도
개발성이 없는 사업성은 정부지원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이유는?
개발성이 자금 지원분야이기 때문입니다.
지원할 내용이 없는데 어떻게 지원을 합니까?
둘다 중요하지만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 하면
개발이 먼저입니다.
다음 글 정부과제 사업계획서 작성 요령 2에서는
목차 구성의 원리부터
각각의 목차를 어떻게 이해하고 작성할 것인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주식회사 소유에셋
SOYOUASSET.CO.LTD.
이사 김우성
서울 강동구 올림픽로62길 9-15. 4층
Tel : 02.2038.3110 fax : 02-512-0912 Mobile : 010.8934.3311
E-mail : kimws12070427@gmail.com
'R&D 정부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과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4 (0) | 2020.09.16 |
---|---|
정부 과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3 (0) | 2020.09.14 |
정부과제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2 (0) | 2020.09.07 |
정부과제 지원 자격 (0) | 2020.09.01 |
정부과제의 모든것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