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과제의 모든것

2021정부과제 - 구매조건부 공동투자형 자유과제 본문

R&D 정부과제

2021정부과제 - 구매조건부 공동투자형 자유과제

아프리카기린 2021. 1. 5. 13:14

안녕하세요 소유에셋 김우성입니다. 

 

 

구매조건부 과제공고가 나왔습니다. 

 

 

2021년 2월 8일 마감입니다. 

 

 

과제는 자유응모입니다. 

 

 

구매 투자형은 정부가 아닌 개발 투자업체가 있어야 합니다.

 

정부가 지원하는 금액에 1:1로 투자업체가 투자를 해야하며

 

투자업체는  

 

< 공동투자 기술개발 투자협약기금 참여현황(63) >

(대기업, 15개사) 포스코, 르노삼성자동차,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현대홈쇼핑, 삼성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롯데마트, NS쇼핑, 스템코, LG전자,

현대자동차, KT, KCC건설

(중견기업, 25개사) 한솔테크닉스, 네이버, 인켈, 주성엔지니어링, 인성정보, 크루셜텍, 경창산업, 동양물산기업, 휴맥스, 오텍캐리어, 아진산업, 대동공업, 디아이씨, 톱텍, 국제종합기계, 세하, SFA반도체, 대상, JW홀딩스, 아모레퍼시픽, 삼지전자, 탑엔지니어링, JW바이오사이언스, 라이온켐텍, 아세아텍

(공공, 23개사) 한국전력공사,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수력원자력,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인천항만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부산항만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조폐공사, 한전KDN, SRT

 

로 정해져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첨부해드립니다.

 

 

 

1. 사업개요

 

 

사업목적 : 투자기업*의 투자수요가 있는 공동투자 R&D를 지원하여 가치(공급)사슬의 경쟁력 확보 및 장기적인 파트너십 형성

 

* 중소기업과의 기술협력 촉진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R&D출연금을 조성한 대기업, 중견기업 및 공공기관

 

지원규모(‘21년 신규) : 100억원(1: 32억원)

 

 

<참고> 총 지원규모 내에서 차수별 지원 규모는 변동 가능

 

2. 지원방식 및 지원분야

 

 

지원방식

 

자유응모 : 중소기업이 투자기업에 과제를 제안하여 투자동의서 받아 해당하는 지원분야에 과제를 신청

 

 

지원유형(공공분야만 해당)

 

단일과제 : 투자기업과 주관기관 1:1 과제 진행

 

공동개발과제 : 둘 이상의 투자기업과 하나의 주관기관이 과제 진행

지원분야

 

일반과제 : 투자기업의 투자수요가 있는 제품의 기술개발을 지원

 

BIG3 : 투자기업의 투자수요가 있는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형자동차 분야* 제품의 기술개발을 지원

 

* 붙임 1BIG3 분야별 정의 참조

 

소부장 : 투자기업의 투자수요가 있는 소재, 부품, 장비분야* 제품의 기술개발을 지원

 

* 붙임 2의 소재, 부품, 장비 지원분야 및 제품 참조

 

지원범위

 

개발과제의 기술개발 및 시제품 제작*에 필요한 자금

 

* 목형제작(Mock up), 시험분석, 성능인증, 디자인 등

 

** , 투자기업 출연금은 사업화 비용 계상 가능(붙임 4 참조)

 

IP-R&D전략 지원(소부장 분야 중 희망하는 과제에 한하여 지원, 붙임 3 참조)

 

 

 

 

 

Comments